목록전체 보기 (124)
서의 공간
[문제]: 1463번: 1로 만들기 (acmicpc.net) 숫자가 3의 배수 또는 2의 배수라고 바로 3, 2로 나누어서는 안 된다! 먼저 -1을 한 후의 연산 횟수가 더 적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. 10을 예를 들어보면, 10은 2의 배수이니 2로 먼저 나눈다고 해보자. 아래 식은 괄호 없이 순서대로 계산한다(사칙연산 계산 순서 무시). 이때 연산 횟수는 총 4회. \(10\div2-1\div2-1=1\) 하지만, 이렇게 계산할 수도 있다. \(10-1\div3\div3=1\) 이때 연산 횟수는 총 3회. 따라서 주어진 숫자가 3의 배수 또는 2의 배수라 하더라도, 나누기하기 전에 먼저 -1을 한 연산 횟수와 비교를 해야 한다. 먼저 -1을 한 연산 횟수보다 작으면 나누기, 아니면 -1부터. 아래 코드..
[문제]: 17626번: Four Squares (acmicpc.net) 예를 하나 가지고 하나하나 따져보자. 첫 for문은 제곱수는 1개의 제곱수로 표현할 수 있으므로 그 부분을 처리한 것이고, 핵심은 2번째 for문이다. 먼저 dp[n]의 정의다. \[dp[n]=\text{제곱수들의 합이 \(n\)인, 제곱수들의 최소 개수}\] 즉, \(1=1^2\text{ 이므로 } dp[1] = 1,\) \(5=1^2+2^2\text{ 이므로 } dp[5] = 2,\) \(13=2^2+2^2+2^2+1^1\text{ 이긴 하지만, } 13=2^2+3^2\text{ 이기도 하다. 최소 개수이어야 하므로 }dp[13] = 2,\) \(60=1^2+1^2+3^2+7^2\text{ 이므로 } dp[60] = 4\) 이다..
[문제]: 9625번: BABBA (acmicpc.net) A와 B의 개수를 세기 위해 pair타입을 이용했다. pair 타입은 (A의 개수, B의 개수) 형식이다. 문자열을 본다면 스위치를 k번 눌렀을 때 문자열은 항상 (k-1번 문자열 + k-2번 문자열)이다. 식으로 표현하면, \[strPush(k) = strPush(k-1)+strPush(k-2)\] (예) 스위치를 5번 누른 문자열 = "BABBABAB" 스위치를 4번 누른 문자열 = "BABBA" 스위치를 3번 누른 문자열 = "BAB" 여기서 오해하지 말아야 할 것은 + 연산이 실제로 더하기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고 문자열의 concatenate, 즉 문자열을 연결하는 연산이다. 실제 문제는 문자열이 아닌 A와 B의 개수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..
[깃허브]: Seoui/study-on-baekjoon: 백준 온라인 문제 풀이 코드입니다 (github.com)
언젠가 시간이 생기면 T1부터 차근차근 글을 올릴 생각이다. 순전히 내 자신의 복습 용도이며, 새롭게 배우려고 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이 아니다. 현재 학습 하고 있는 프레임워크이다. [유투브 주소]: ChiliTomatoNoodle - YouTube [깃허브]: planetchili (chili) (github.com)
[highlight.js Demo]: highlight.js demo [cdnjs 공식 사이트]: cdnjs - The #1 free and open source CDN built to make life easier for developers 1. cdnjs사이트에서 highlight.js 검색 2. 원하는 styles link 복사 3. 티스토리 스킨 편집 -> HTML 편집에서 원하는 theme로 바꾸면 된다. 아래는 내가 적용한 highlight.js 코드다. *참고* Visual Studio에서 코드를 복사해 코드블럭에 붙여 넣으면 탭 간격이 기존에 내가 보던 간격과 다르다. default 탭 간격이 8이므로 CSS 편집에서 다음 코드를 추가하면 탭 간격을 4로 바꿀 수 있다. .hljs { ta..
[LaTex 문법]: Help:Displaying a formula - Wikipedia 인터넷에서 여러 글들을 보고 다양한 코드를 HTML에 사용해본 결과, 다음과 같은 방법이 가장 간단하고 정확했다. $ 기호를 사용해서 감싸는 방법이 있는데 그러한 방법보다 아래와 같은 방법을 추천한다. 아래 HTML 스크립트는 MathJax의 공식 사이트에서 직접 제공하는 코드이다. 티스토리 스킨 편집 -> HTML 편집에서 안에 아래 코드를 넣으면 LaTex문법을 사용하여 수식을 쉽게 입력할 수 있다. [MathJax 공식사이트]: MathJax | Beautiful math in all browsers. 예 1) \(\sqrt{2}\) \(\sum_{i=1}^n k^2\) 위와 같이 글을 쓰면 결과는 다음과 같다..
마크다운 사용법 (github.com)
blog.naver.com/sorkelf/220846504837